KOKA013A June 2020 – November 2022 LM5156 , LM5156-Q1 , LM51561 , LM51561-Q1 , LM51561H , LM5156H , LM5156H-Q1 , LM5157-Q1 , LM51571-Q1 , LMR43610 , LMR43610-Q1 , LMR43620 , LMR43620-Q1
확산 스펙트럼 기술은 스위치 모드 컨트롤러와 컨버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스위처가 생성하는 EMI(전자기 간섭)의 영향을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확산 스펙트럼을 구현하는 데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각 방법은 업계 표준 테스트에서 사용되는 여러 분해능 대역폭(RBW)에 따라 보통 저주파 또는 고주파에서 더 우수한 성능을 보입니다. DRSS(듀얼 랜덤 확산 스펙트럼)는 성능 저하 없이 여러 주파수 대역에서 스펙트럼 방출을 분산하도록 특별히 설계된 디지털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Other TMs
확산 스펙트럼 기법(또는 "디더링")은 수년 동안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왔으며, 무선 및 유선 통신 목적으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맥락에서 확산 스펙트럼은 기본 스위칭 주파수와 고조파에서 모두 고정 주파수 스위칭에 의해 생성되는 EMI의 효과를 줄이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1] . 이 EMI는 방사 및 전도 방출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 두 가지 모두에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애플리케이션 노트에서는 관심 대상인 기본 주파수가 CISPR-25 전도 EMI 테스트 표준에 의해 제어되는 차량용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확산 스펙트럼을 최적화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입니다[2]. 그러나 여기서 설명하는 방법은 다른 테스트 표준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확산 스펙트럼을 최적화할 때 가장 큰 과제 중 하나는 대부분의 변조 방식이 한 대역에서 최고의 성능을 보이지만 다른 대역에서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여러 주파수 대역에서 잘 작동하는 솔루션을 찾는 것입니다[1]. 이는 산업 표준 EMI 테스트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해 서로 다른 스펙트럼 분석기 RBW 설정이 필요하고 RBW가 디더링 성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3]. 이 애플리케이션 노트에서는 자동차 전도 EMI 테스트에 사용되는 높은(120kHz)고 낮은(9kHz) CISPR-25 RBW에서 모두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는 새로운 디지털 확산 스펙트럼 방식인 DRSS를 소개합니다[4]. 이 방식은 각각 전류 모드, 프로그래밍 가능 주파수, 비동기식, 부스트/SEPIC/플라이백 컨트롤러 및 컨버터인 LM5156x(-Q1) 및 LM5157x(-Q1)에서 모두 사용됩니다.
확산 스펙트럼을 최적화할 때 직면하는 절충안은 fC, ΔfC, fm과 같은 일반적인 확산 스펙트럼 설계 매개변수와 RBW 필터의 시간 영역 영향에 대한 논의를 사용하여 검토합니다. 애플리케이션 노트는 주로 현재 기술과 확산 스펙트럼 이론을 검토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그렇게 하는 이유는 DRSS의 가치는 균형을 이루어야 하는 절충점들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볼 때 가장 확실히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